짧은생각

단체장은 행정가를 뽑아야

지방자치단체의 수장은 정치인이 아닌 행정가를 뽑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단체장은 지역을 위한 정책을 직접 실행에 옮기는 책임자이기 때문이다.
명분 또는 이미지로 일을 할 수 없다는 자리이다.

아래는 지난 서울시장 선거이후 1달이 지난 다음 나온 사설이다.
깨끗한 ‘이미지’라며 음양으로 밀어줄 때는 언제고, 이제 와서 ‘준비가 안 된 모습’이라며 질타는 것은 무슨 연유일까? 씁슬한 뒷맛이 난다.

[#M_[중앙일보사설] 취임 한 달 지나도 보이지 않는 서울시장|봤어요…|오세훈 서울시장이 취임한 지 한 달이 지났다. 시정 계획을 짜고 공직사회에 변화를 이끌고 수해를 챙기고 나름대로 바쁜 한 달을 보냈다고 자평하는 것 같다. 하지만 관심이 갈 만한 구체적인 정책은 별로 눈에 띄지 않고 ‘이미지 정치인’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 같다고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다 보니 서울 경쟁력 강화, 브랜드 강화라는 추상적인 구호가 앞선다. 오 시장은 취임하자마자 ‘100일 창의서울 추진본부’를 만들어 공무원의 아이디어를 구했지만 별로 나온 게 없다. 또 공약을 담당할 3개의 본부를 신설했지만 결과물은 없고 회의로 밤을 새우고 있다고 한다. 연간 관광객을 600만 명에서 1200만 명으로 늘리겠다고 공언했지만 공무원도 회의적인 눈길을 보낼 정도다.

오 시장이 주력하는 분야가 환경이다. 대기오염을 도쿄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 교통환경유발부담금 제도를 내놨다. 하지만 경유차 소유자의 30~40%가 소형 트럭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서민이기 때문에 쉽지 않다. 정책 혼선도 엿보인다. 의견 수렴 없이 어린이대공원 담장을 철거한다고 발표해 반발을 사고 있다. 전임 시장이 추진하던 노들섬 오페라하우스 건립과 관련, “공감대 형성이 충분하지 않았다”며 재검토하는 것도 행정의 일관성을 떨어뜨린다.

이미지에 의존하는 모습은 여전하다. 10월에 ‘천만상상 오아시스’라는 포털사이트를 만들어 시민의 아이디어를 정책화하겠다는데 자칫하다간 포퓰리즘으로 흐를 수 있다. 공무원과 선상 토론을 벌이고 영화를 같이 보는 모습도 이벤트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오 시장은 “6개월만 기다려 달라”고 하나 임기 4년은 그리 길지 않다. 전임 이명박 시장은 취임 다음날 청계천복원본부를 출범시켜 자신의 구상을 바로 정책으로 옮겼다. 정책 구상이 너무 길어지면 ‘준비 안 된 시장’임을 스스로 드러내는 형국이 될 것이다. 오 시장은 서울시장이라는 자리가 이미지 정치인이 아니라 행정가를 요구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_M#]

spacer

잘 죽어야 한다

어제부터 학과에서는 유초중등교원에 대한 특수분야 직무연수를 진행하고 있다.
오늘 점심은 직무연수와 관계된 분들과 함께 식사를 하였다.
이야기 중 여러 가지가 나왔는데, 그 중의 하나가 죽음에 관한 것이었다.

운동을 어떻게 할 것인가, 안락사 문제 등 많은 얘기를 했는데, 한 마디로 ‘잘 죽어야 한다’였다.
– 아침운동은 절대 무리하지 말 것. 오히려 오후에 하는 것이 좋음.
– 운동은 건강하게 살도록 도와주는 것이 오래 살도록 도와주는 것이 아니다는 학설도 있음.
– 술먹을때 외치는 구호중의 하나가 ‘구구팔팔이삼사’이다.
‘구십구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이삼일 앓다가 죽자(사死)’ 뭐 이런 뜻 되겠다.
그리고 나서 인터넷에 보니 다음과 같은 글이 있어서 링크를 걸었다.

“내가 죽거든….. 부의금을 절대사절해라”
문인 101명이 미리 쓴 유언장… <오늘은 내 남은 생의 첫날> 출간

나는 죽음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그리고 무엇을 남길 것인가?
오늘은 내 남은 생의 첫날이라는데, 어떻게 보내야 할까?

spacer

군산은 웰빙도시?

오늘 교회에서 김교수님 가족을 만났다.
같이 얼마전 개업한 ‘경복궁’이라는 한식집에 가서 갈비탕을 먹었다.
두 집이 모두 아이 하나씩 있는 관계로 따로 방을 받아서 들어갔다.
우리 아이 창선이보다 한 살 많은 진호랑 처음에는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가 싶더니 바로 같이 장난을 쳤다. 아이들은 역시 금방 친해진다.
아이들이 잘 놀아서, 이야기 끝에 은파 유원지 인라인스케이트장으로 갔다.

김교수님 차에서 꺼낸 자전거(언제나 아이가 탈 수 있도록 차에 둔단다)를 가지고 두 아이가 타도 놀았다. 스케이트 장뿐만 아니라 저수지 주위의 산책로까지 갔다.
많은 사람이 어른아이 할 것 없이 나와서 휴일을 즐기고 있었다.

군산에 와서 정말 놀랐던 것은 월명산, 은파유원지, 금강하구둑 등 다양한 근린 공원이 있다는 것이다. 월명산은 말 그대로 산 위에 저수지가 있고, 그 저수지에 달이 밝게 드리우는 그런 곳이다. 저수지 주변으로 펼쳐진 산책로는 환상적이다.
미제 저수지(보통 은파 유원지로 더 알려졌다) 주변의 산책로는 군산시민이 애용하는 건강코스이다. 이제 곧 저수지를 가로지르는 다리가 놓이고, 주변으로 목제 데크가 만들어지면 환상의 공원이 될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렇게 탈바꿈한 것은 아마도 시민의 요구와 시의 의지가 있었기에 가능했으리라. 지금의 인라인스케이트장도 전에는 무허가 주점들이 즐비했던 곳이었다.
금강을 두고 군산과 서천(특히 장항)이 놓여 있는데, 두 시군의 분위기는 좀 다르다. 서천쪽에는 강변을 따라 카페들을 비롯한 유흥업소들(자동차 극장도 있는데, 왕의남자를 보러 한번 간적이 있다)이 있는 반면에 군산쪽에는 산책로, 자전거도로, 채만식 문학관이 있다는 점이다.

[#M_사진을 보여주세요.|다 봤어요.|

월명산 위성사진

월명산 전경

남북으로 길게 뻗은 월명산 위로 티(T)자 모양의 저수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은파유원지 위성사진

은파유원지 전경

인라인스케이트장 위성사진

인라인 스케이트장

금강하구둑 위성사진

금강하구둑 전경


_M#]

요즘 군산에 아파트 분양이 한창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군산이 전원도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아파트를 짓더라도 좀더 낮게 짓고, 될 수 있으면 이층 또는 삼층짜리 연립주택의 형태로 지었으면 한다. 나는 이런 규모가 휴먼스케일(human scale)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친환경건축의 핵심은 건축물의 밀도(density)이며, 이것을 뺀 나머지 것들은 부수적인 것이리라. 건물로 가득찬 도시, 특히 모든 것이 콘크리트로 된 도시,  친환경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공원은 이런 도시건물의 밀도를 낮추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런 의미로 볼 때, 서울에서 친환경건축을 얘기하는 것은 기본적인 모순을 안고 있다.

spacer
spacer

보호된 글: 기도문_060716

이 콘텐츠는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이 콘텐츠를 보려면 아래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spacer